COMMUNITY
커뮤니티

아트미시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53회 작성일 24-06-22 16:00

본문

1 향의 특색
  쑥향

2 식물의 특성
  약 250종이 있으며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사막에도 생육한다. 대부분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작은 관목도 있다. 잎과 열매 등이 식용되나 약용에 쓰이는 것이 많다. 봄에 거친 땅의 마른 풀 속에서 녹색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 타래쑥 A. princeps와 쑥 A. asiatica이다. 줄기는 높이 60-120c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에 종선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잔 톱니가 있고 뒷면에 회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히 나 있다. 잎은 4~8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향기가 난다. 연분홍색의 꽃은 7~9월 무렵 줄기 끝에 두상 꽃차례로 무리지어 피는데 , 하나의 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무리지어 달린다. 땅속줄기는 특히 발달하여 번식력이 강하다. 타래쑥과 쑥 모두 한국 각지를 비롯하여 인도·중국·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이 밖의 쑥속식물로는 제비쑥·사철쑥·뺑쑥 등이 있다.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모여 달리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난다.

3 식물의 역사
  학명은 그리스 신화의 아폴론의 쌍둥이 여동생인 아르메티스(artemis)여신에서 따온 이름이다. 로마시대부터 수태, 분만을 비롯해 여성의 모든 질병을 고친다고 믿어 왔다. 약효와 마귀를 쫓는 풀로서도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어왔다. 건조한 잎은 6, 70년전의 영국 콘월의 노동자가 값비싼 홍차의 대용으로 이 허브차를 마셨다. 유럽에서는 거위, 집오리의 통구이를 만들 때 안에 다져 넣는 충전물에 이 허브의 향을 이용하였다.

4 치유특성
  지혈, 진통, 강장, 자궁출혈, 생리불순, 생리통, 복통, 백선, 상처, 해독, 이뇨, 항균, 소화불량, 위장염

5 마음에의 작용
  진정, 통경, 해열

6 몸에 대한 작용
  우리 몸의 자연 생리 기능을 강화시켜 병의 원인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뇨작용이나 소화불량 일 때 소화 촉진에도 효과적이며, 체내의 항생물질을 줄여주어 살균작용도 높고 항류머티즘에도 좋다. 혈액 속에서 해로운 병균을 잡아먹는 백혈구의 수를 늘려 면역 기능을 높이고, 살균 효과가 있다. 어떤 항생제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좋다. 강력한 해독 작용이 있어, 온갖 공해나 독으로 가득 찬 몸속을 깨끗하게 만든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관의 수축과 이완 기능을 좋게 한다. 혈액 순환을 돕기 때문에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을 예방한다. 죽은피나 썩은 피를 분해해서 몸 밖으로 내 보낸다. 간경화증에 쑥이 특효약인 것은 쑥의 성분이 어혈과 딱딱하게 굳은 지방 덩어리를 분해해서 간 기능을 회복해 주기 때문이다. 간의 해독과 알코올 분해 작용이 뛰어나 손상된 간 기능의 회복을 돕는다.
몸 안의 냉기와 습기를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몸을 따뜻하게 해 여러 가지 부인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대장의 수분 대사를 조절한다. 배의 냉증을 몰아내고 장운동과 점액 분비를 원활히 해 변을 부드럽게 만든다. 변이 묽을 때도 효과가 있다. 쑥은 사람에게는 약이 되지만 해충에게는 독이 되기 때문에 구충제로도 쓰인다.

7 피부에 대한 작용
  피부 노화의 주원인인 활성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비타민 A, C 그리고 무기질을 함유하여 맑고 탄력 있는 피부로 유지시켜준다. 또 소염작용, 자극 진정 작용, 소독 효과가 있어 특히 민감한 피부, 여드름 피부, 붉은 피부에 좋다. 특히 볼에 모세혈관이 드러나 금세 얼굴이 붉어지는 사람, 햇볕에 탄 얼굴, 습진, 땀띠 등 피부 트러블에 있는 사람에게 좋다.


8. 기타
- 과명 : Asteraceae
- 학명 : Artemisia princeps var
- 노트 : base
- 원산지 : 동남아시아
- 추출법 : 수증기 증류법
- 추출부위 : 잎, 줄기